고려 시대의 운문 문학은 한국문학의 중요한 문화유산 중 하나입니다. 당시 사람들의 삶과 정신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고려 시대 운문 문학은 당대의 삶을 반영한 특징을 갖고 있으며, 다양한 갈래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이와 관련된 기록 문헌이 존재하여 후세에 중요한 문학적 자산을 남기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고려 시대 운문 문학의 주요 특징, 다양한 갈래, 그리고 이를 기록한 문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고려 시대 운문 문학의 특징
고려 시대의 운문 문학은 당대 사회적, 정치적 배경을 반영하면서도, 고유의 문학적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중국 문화와의 교류, 과거 제도의 실시 등으로 향가와 같은 국문 문학이 위축, 쇠퇴하고 한문 문학이 융성하게 되었습니다. 평민들의 생활 감정을 진솔하게 표현한 고려 가요가 민간에서 유포, 전승되다가, <소악부>에 한시로 번역되어 궁중의 속악 가사로 수용되고 개편되었습니다. 고려 말 새로운 문학 담당층으로 등장한 신응 사대부들이 자신들의 득의에 찬 삶과 여흥을 위해 경기체가를 창작.향유했습니다. 귀족 문학과 평민 문학으로 양분되어 있던 당시의 문학적 풍토에서 시조가 발생하여 이 들을 아우름으로써 새로운 국민 문학의 기틀을 형성했습니다.
고려의 운문은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중요한 주제로 삼고 있습니다. 특히 자연을 소재로 한 작품에서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 그 안에서의 인간의 내면적 고뇌를 표현하는 경향이 두드러집니다. 이는 고려 시대 문학이 자연을 단순히 배경이 아니라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로 여겼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고려 시대의 운문은 서정성과 표현의 다양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고려의 운문은 그 자체로 감성적이고 서정적인 요소가 많으며, 당시 사람들의 내면을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운문을 통해 인간의 다양한 감정과 상황을 세밀하게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2. 고려 시대 운문 문학의 갈래
고려 시대의 들어서면서 과거 제도 시행의 영향으로 지식인들이 한문학을 숭상하게 되어 향찰 사용이 부진되어 향가 소멸의 원인이 됩니다. 속악은 우리 고유의 전통 궁중 음악을 중국계의 아악이나 당악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로, 고려 이후에는 향악과 같은 뜻으로 사용됩니다. 운문 문학은 주로 고려가요, 시조, 경기체가 등의 갈래로 나뉩니다.
고려 가요는 고려 시대 평민들이 부르던 민요적 시가로 '고려 속요, 여요, 장가'라고도 합니다. 넓은 의미로는 고려 시가 전체를 포함하며, 좁은 의미로는 귀족층이 향유하던 '경기체가'를 제외한 고려 가요를 일컫는데, 향가계 고려 가요까지 포함하여 이릅니다. 고려 가요는 민요에 바탕을 두고 형성된 것으로, 귀족층의 한문학이 융성하던 시기에 평민층에서 새로이 나타난 노래입니다. 당시에는 우리 글자가 없어 구전되다가 훈민정음 창제 이후 문자로 정착되기 시작했습니다. 문자로 정착되는 과정에서 조선 시대 유학자들이 내용을 개작 또는 삭제한 작품이 많아 일부만 전합니다.
시조는 주로 사대부의 서정을 간결한 형식 속에 담아낸 우리 고유의 정형시로, 고려 후기 역사적 전환기를 맞아 신흥 사대부들이 경기체가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유교적 이념을 표출하기 위해 또 다른 표현 영역을 개척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국문학의 대표적 양식입니다. 내용상 특징은 임금에 대한 忠, 義를 노래한 시조들이 대부분이며, 형식상 일반적으로 3장 6구 45자 내외를 기본형으로 하여 이루어져 있습니다.
경기체가는 고려시대 중엽 이후 새롭게 등장한 신흥 사대부들이 자신들의 득의에 찬 삶과 유흥적이고 향락적인 생활을 드러내기 위해 즐기던 노래입니다. 구체적 사물을 나열하면서 객관적인 설명을 가하는 교술적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고려시대 고종 때 발생하여 조선 선조 때까지 약 350년간 이어진 별곡체 형태의 시가를 이릅니다.
3. 고려 시대 운문 문학을 기록한 문헌
고려 시대의 운문 문학은 다양한 기록 문헌을 통해 후세에 전해졌습니다. 특히, 고려의 문학적 성과는 『고려사』, 『고려사절요』, 『삼국유사』와 같은 역사적 기록물을 통해 전해지고 있습니다.
-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고려사와 고려사절요는 고려의 역사와 함께 문학적 기록을 남긴 문헌들입니다. 이들 문헌에는 당시의 운문 문학에 대한 기록과 함께 여러 시인들의 작품이 등장합니다. 특히 고려사절요는 당시 정치적 사건들을 다루면서도 문학적인 장면을 엿볼 수 있습니다.
- 삼국유사: 삼국유사는 고려시대 문학과 관련된 중요한 자료 중 하나로, 신라와 고려의 문학적 전통을 이어받은 다양한 작품들을 수록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문헌은 고려의 문학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고려 시대의 운문 문학은 그 시대의 사상과 문화, 자연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형식과 내용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향가와 시조를 포함한 다양한 문학적 갈래는 당시 사람들의 삶을 풍부하게 그려내며, 후세에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남게 되었습니다. 또한 이를 기록한 문헌들은 오늘날에도 그 가치가 여전히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려 시대의 운문 문학은 우리의 고유한 문학적 자산으로, 현재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