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전 소설을 모티프로 한 현대시(흥부 부부상, 추천사)

by sunnymoney1 2025. 3. 14.
반응형

고전 소설을 모티프로 한 소설과 관련된 사진

서정주의 '추천사'와 박재상의 '흥부 부부상'은 각각 고전 소설 '춘향전'과 '흥부전'을 모티프로 해서 창작된 현대시입니다. 박재삼의 '흥부 부부가'에서는 흥부 부부가 가난을 극복하는 태도와 삶의 자세를 형상화하였고, '추천사'는 춘향의 마음을 담아 노래한 시입니다. 본 글에서는 두 현대시에 고전 소설이 어떻게 형상화되어 나타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흥부 부부상 - 가난한 삶의 애환과 극복

이 시는 가난으로 인한 한을 지니면서도 그것을 사랑으로 극복해 내는 서민들의 삶의 애환을 박 타는 흥부 부부를 소재로 하여 표현하고 있습니다. 1연에서는 흥부 부부는 가난하지만 만족하며 행복한 웃음을 짓고 살고 있습니다. 그리고 화자는이러한 삶의 자세를 보이는 사람들이 소중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2연에서 화자는 가난 속에서도 서로를 이해하면서 살아온 흥부 부부를 서로의 거울과 같은 존재라고 생각합니다. 3연에서는 흥부 부부가 가난한 생활에서 오는 어려움을 웃음으로 승화시키며 사랑으로 극복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 시의 시인이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바는 가난한 삶의 애환과 그 극복입니다. 이를 위해서 시인은 흥부 부부의 웃음을 물살에 비유하고 있습니다. 그 물살은 恨을 바탕으로 하는 것입니다. 즉 이 시에서 한과 웃음은 서로 혼용되어 있는데, 시인은 이를 통해서 서민들의 삶의 애환을 노래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 시에서 '웃음'과 '금, 황금 벼 이삭'은 대립적 관계에 있는 시어입니다. '금'과 '황금 벼 이삭'은 물질적인 풍요를 가리키고, '웃음'은 물질적 빈곤함을 이겨 나가는 힘을 가리킵니다. 물질적 풍요를 누리지 못하고 가난한 삶을 살지만, 금이나 누렇게 익은 벼 이삭보다 그저 박 덩이가 좋아서 웃음을 짓는 흥부 부부의 모습을 통해 물질적인 풍요보다는 부부 사이의 사랑과 신뢰, 정신적인 행복이 더 중요함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2. 추천사 - 이상향의 소망과 좌절

"추천사"는 춘향전을 모티프로 하여 현실적인 괴로움과 인간적 운명의 한계를 벗어난 초월적, 이상적 세계로의 열망을 노래하고 있는 현대시입니다. 제목 '추천'은 그네 타기를 의미합니다. 이 시는 그네를 타면서 '춘향'이 '향단'이에게 이야기를 건네고 있는 내용입니다. 여기서 화자는 그네를 타고 있는 춘향이입니다. 이 작품을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단어는 그네입니다. 그네를 밀면 하늘로 올라갈 수 있다는 이상과 하지만, 결국은 그곳에 도달하지 못하고 내려와야 한다는 한계를 지닌 소재입니다. 즉 그네는 현실 세계로부터 벗어나 이상 세계에 도달하고자 하는 매개체입니다. 하지만 한계를 지니고 있는 역설적인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춘향의 심리를 보여 주고 있습니다. 이 시에서 화자인 춘향은 먼바다로 나가는 배처럼 그네를 타며 초목과 새와 나비들이 만발한 지상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합니다. 이 지상의 아름다운 사물들은 춘향에게 사랑의 번뇌를 일으키는 것들입니다. 춘향은 사랑의 번뇌가 가득한 지상의 질서로부터 벗어나 '서으로 가는 달'처럼 하늘의 질서 속으로 들어가고자 하나, 그럴 수 없는 인간의 한계를 깨닫습니다. 춘향은 그러한 인간은 한계를 알면서도 또다시 벗어나고자 하는 시도를 계속합니다. '바람에 일렁이는 파도'는 이러한 춘향의 심정을 반영하는 시적 비유입니다. 

3. 고전과 현대, 그리고 인간의 보편적 감정

고전 소설을 모티프로 한 현대시는 고전 소설의 내용을 그대로 시로 옮긴 것이 아닙니다. 오랜 시간 동안 향유되어 온 고전의 내용에 담긴 보편적인 감정을 현대적인 방식으로 재창조한 것입니다. '흥부 부부상'에서 보이는 '희망'과 '삶', '추천사'에서의 '이상세계에 도달하고자 하는 소망과 한계의 인식'은 그렇게 재창조된 것입니다. 

시인들은 고전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근본적인 감정들을 현대적이고 개성적인 시각으로 풀어내며, 우리가 사는 사회에서도 여전히 중요하게 여겨야 할 가치들에 대해 묻습니다. 고전 소설을 현대시로 바꾸는 과정에서 시인들은 감정과 심리를 보다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이를 통해 독자들에게 새로운 통찰을 제공합니다.

고전 소설을 모티프로 한 현대시는 과거와 현재를 잇는 중요한 다리 역할을 합니다. "흥부 부부상"과 "추천사"와 같은 작품은 그 자체로도 아름다움과 교훈을 주지만, 현대시에서는 이를 현대적 시각으로 해석하고, 과거의 이야기를 새로운 방식으로 풀어내며 독자들에게 여전히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