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시 '가시리'의 농경 문화와 효사상(유래, 효사상, 父母의 사랑 비교)

by sunnymoney1 2025. 3. 22.
반응형

시 '가시리'와 관련된 사진

고려 시가 '사모곡'은 한국 시가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효사상과 농경문화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습니다. 이 시는 부모님에 대한 사랑의 예찬을 담고 있으며, 특히 한국의 전통적인 농경 사회에서 효가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 잘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사모곡'의 유래, 효사상과 농경문화의 관계를 탐구하고, 이 시에 나타난 어머니와 아버지의 사랑을 대조적으로 표현한 것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모곡'의 유래와 전승

'사모곡'은 고려시대에 널리 불렸던 시가로, 부모님의 자식에 대한 사랑의 깊이를 예찬한 작품입니다. '사모곡'을 일명 '엇노리'라고도 하는데, '엇노리'란 '엇노래'에서 유래한 것으로, '엇노래'는 '어머니의 노래(사모곡)'를 뜻합니다. '사모곡'은 소박한 생활 속에서 느껴지는 어머니의 사랑을 꾸밈없이 노래한 작품으로, 원래 신라의 목주(지금의 천안)라는 지역에서 불리던 제목도 없는 노래였습니다. 그런데 이 노래가 점차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여러 사람의 입을 통해 전해지면서 '엇노래'라는 제목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마침내 궁중 음악인 속악으로 채택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지게 되었습니다. 고려 시대의 궁중음악은 국가에서 관장했습니다. 궁중에서 전승되던 음악에는 아악, 당악, 속악의 세 가지가 있습니다. 아악은 국가의 공식적인 행사, 왕가와 관련된 행사에 불리던 음악으로 매우 엄격하고 까다로운 절차에 의해 연주되었습니다. 반면에 당악과 속악은 공식적이지 않은 행사 때 쓰이던 음악으로, 당악은 중국에서 들어온 음악을, 속악은 국내에서 불리다가 궁중에 들어온 음악을 말합니다. 사모곡은 '엇노래'에서 유래하여 민중 속에서 점차 확대되어 불리었고, 후에는 궁중에서까지 불리게 되었습니다. 이 작품의 구조에는 작품의 전승 과정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원래 이 작품은 1.2행, 3.5행의 병렬구조로 되어 있는 4구체의 소박한 민요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그러다가 이 작품이 궁중의 속악 가사로 채택되면서 4행에 '위 덩더둥셩'이라는 여음구가 들어갔고, 다시 6.7행에 서정시의 완결부가 첨가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사모곡' 속 농경문화와 효사상

농경문화는 고려시대 사람들의 삶의 기반이었습니다. 농업은 단순히 식량을 생산하는 수단을 넘어서, 삶의 뿌리와도 같은 중요한 기반이었습니다. 가족을 이루고 농사를 짓는 과정에서 부모는 생계를 책임지는 중추적 역할을 하며, 자식들은 그 부모를 도와 삶을 이어갔습니다. 이러한 삶의 구조 속에서 효는 단순히 '부모를 섬기는 마음'을 넘어, '공동체의 번영을 위한 실천적 미덕'이었습니다. 이 작품은 김을 매거나 감자, 고구마 등을 캘 때 사용하는 농사도구에 어머니의 사랑을 비유하고 곡식을 자르는 데 사용하는 농사도구에 아버지의 사랑을 비유하고 있습니다. 이런 비유는 참신하면서도 소박한 느낌을 줍니다. 많은 문학 작품이 부모님의 사랑을 바다나 하늘, 태산 등에 빗대어 표현한 것에 비하면 이처럼 농기구에 빗댄 표현은 참신해 보입니다. 화자는 아버지의 사랑보다 어머니의 사랑이 더 깊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농경 생활의 체험이 드러나 것에서 이 작품의 작가가 농경문화에 익숙한 인물이라는 점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작품은 다른 고려 가요에 남녀 간의 사랑이나 이별 등의 주제가 주로 등장하는 것과 당리 드물게 부모님의 사랑을 노래하고 있어 그 바탕에는 효사상이 깔려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모곡'의 감정선: 아버지의 사랑과 어머니의 사랑을 비교

'사모곡'에서 가장 중요한 감정선은 어머니에 대한 예찬입니다. 아버지의 사랑을 비유한 농기구 보다 어머니의 사랑을 비유한 농기구가 더 잘 든다라고 표현한 점에서 알 수 있습니다. '어머님같이 나를 사랑하실 분이 없도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남녀 간의 사랑과 이별을 노래한 다른 시들과는 달리 부모님의 사랑을 예찬한 고려 시가로, 어머니와 아버지의 사랑을 비교함으로써 어머니의 사랑이 아버지의 사랑보다 더 지극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같은 농사도구라고 그 예리함의 정도가 다름을 말하며 아버지와 어머니의 사랑이 다름을 나타냅니다. ‘사모곡’은 그 자체로 효사상을 전파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효는 단순히 가족 내에서의 윤리적 규범을 넘어서, 사회적 덕목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 시가 당대 사람들에게 널리 불리며, 효의 가치와 그 실천에 대한 교훈을 전달하는 데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습니다. ‘사모곡’은 단지 한 사람의 감정을 표현한 시가 아니라, 당시 사람들에게 중요한 사회적 가치와 윤리를 상기시키는 매개체였습니다. 이 시는 농경문화 속에서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를 더욱 깊이 이해하게 해 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