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록파란 1939년 <문장> 지의 추천으로 등단한 박목월, 막두진, 조지훈 세 사람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이들이 낸 공동 시집 <청록집>은 기존의 모더니즘 문단에 반발하고 생명력을 간직한 '자연'을 노래하였습니다. 자연의 본성을 통해 인간적 염원과 가치를 성취시키고자 하였습니다. 박목월은 청록파 시인으로, 그의 시 세계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깊이 탐구하며, 고요하고 아름다운 자연의 이미지 속에서 삶의 의미를 찾고자 했습니다. "청노루", "산도화", "산이 날 에워싸고" 등의 작품은 그의 대표적인 시로, 자연과의 조화를 통해 인간 존재의 깊이를 성찰하는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박목월의 대표적인 시들을 감상하고, 그 속에 담긴 의미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1. 청노루 - 봄의 정견과 정취
박목월의 "청노루"는 절제된 언어와 색채감을 드러내는 시어를 통해 순수하고 평화로운 자연 공산을 형상화한 작품으로, 한 폭의 동양화를 보는 듯한 느낌을 들게 합니다. 이 시에 드러난 자연 풍경은 실제 현실이 아니라 작가의 상상력에 의해 설정된 가상공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 사람이 등장하지 않는 풍경, 푸른색의 청운사와 청노루, 자주색의 자하산 등은 모두 일상 세계의 현실성이 잘 드러나지 않는 이상화된 공간입니다. 따라서 이 작품은 탈속적인 세계관을 표현한 작품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한편 이 시는 원경에서 근경으로 시선을 이동해 가면서 대상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청운사와 자하산에서 계곡의 느릅나무로 , 그리고 노루의 눈에 비친 구름으로 화자의 시선이 이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청운사, 기와집, 자하산'등의 정적인 이미지와 '청노루, 구름' 등의 동적인 이미지가 조화를 이루고 있고, 푸른색과 자주색의 색채 대비도 드러나 있습니다. 이 시는 4음보의 운율을 바탕으로 하나, 시행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운율에 약산의 변화를 가미하여 시적 공간을 효과적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이 시는 전체적으로 대상과 화자 사이의 거리감을 유지하여 감정과 관념의 개입을 절제하고 있지만, 다양한 이미지를 묘사하여 탈속적, 이상적인 세계를 동경하는 시인의 염원을 표출하고 있습니다 .
2. 산도화 - 이상적인 세계의 아름답고 평화로운 정경
박목월의 "산도화"는 그의 초기 시의 전형적인 주제와 분위기를 보여 주는 작품으로, 이상화된 세계의 아름다운 자연 풍경과 평화로운 분위기를 한 폭의 상상화로 그려 내고 있습니다. 이 시의 공간적 배경인 '구강산'은 실제로 존재하는 산이 아니라 시인의 상상 속에 존재하는 공간입니다. 이런 관점에서 마지막 연에 등장하는 '사슴' 역시 실재하는 사슴이 아니라, 상상 속의 존재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4연으로 되어 있는 시는, 화자가 시에 직접 등장하지 않고 시의 내용을 설명해 주지도 않습니다. 대신 화자가 바라보고 있는 자연의 모습을 한 폭의 그림처럼 묘사하고 있습니다. 골짜기마다 흐르는 맑은 물, 보랏빛의 석산, 그리고 그 돌산에서 피어나는 몇 송이의 붉은 꽃을 통해 시각적 이미지가 매우 잘 드러납니다. 또한 '두어 송이의 꽃'을 통해 여백의 미를 느끼게 해 줌으로써 이 시가 한 편의 동양화처럼 느끼게 해 줍니다. 표면적으로는 이상화된 자연에 봄이 오는 모습을 아름답게 드려낸 것 같지만, 이면적으로는 생명의 순수함과 아름다움을 담담하게 노래하고 있습니다.
한편 형식적으로는 원경에서부터 시작하여 근경에 이르는 방법을 통해 대상을 한꺼번에 제시하지 않고, 주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은근히 접근하여 독자들의 시선을 한곳에 집중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3. 산이 날 에워싸고 - 자연 친화를 통한 순수한 삶에 대한 소망
"산이 날 에워싸고"는 박목월 시인이 어두운 현실 속에서 자연을 대하는 태도를 알 수 있습니다. 이 시에서 '산'(자연)은 화자를 에워싸고 삶에 대해서 명령하득 권유를 하고 있습니다. 그 권유의 내용은 자연 속에서 욕심 없이 소박하게 그믐달처럼
살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산이 화자에게 말한 것이 아니라, 시인은 이러한 형식을 빌려서 자신의 삶의 소망을 나타낸 것입니다. 즉 화자가 자연 속에서 자연과의 일체를 꿈꾸며 초월적이고 달관적인 삶을 살고 싶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연에서의 삶은 자연에서의 생계를 유지할 정도의 소박한 삶입니다. 2연에서는 집을 짓고, 자식을 낳아, 가정을 이루며 자연 속에서 살아갑니다. 마지막 3연에서는 삶과 자연이 하나가 되어 정신적 달관의 경지에 이르는 모습을 보여 줍니다.
이 시는 유사한 통사 구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통사 구조의 반복은 시에서 운율을 형성하며, 반복되는 시구를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시구의 강조를 통해서 작품 전체의 주제를 전달하고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각 연에서 삶의 모습에 변화를 줌으로써 점차 자연에서의 삶이 고양되는 모습을 보입니다. 시상이 전개될수록 화자와 자연과의 동화가 강화됩니다. 그러면서 자연 속에서 순수한 삶에 대한 소망이라는 주제 의식을 더욱 강조하게 됩니다.
박목월 시인은 자연 속에서 인간의 삶을 생각했습니다. 위의 3 작품 모두 자연 속에서 평화롭고 순수한 삶을 살고자 하는 소망이 드러나있습니다. 자연친화적인 삶을 살고자 했던 시인의 생각을 볼 수 있는 작품들입니다. 박목월 시인은 자연을 인간의 삶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여기며, 인간은 자연의 일부분임을 일깨웁니다. "산이 날 에워싸고"는 자연과의 조화로운 관계 속에서 인간 존재의 의미를 찾아가자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박목월 시인의 시는 자연을 매개로 인간 존재를 성찰하며, 삶의 의미와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탐구합니다. "청노루", "산도화", "산이 날 에워싸고" 등은 그가 전하고자 했던 깊은 철학적 메시지를 잘 보여주는 작품들로,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큰 울림을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