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42

월령체 시가 '동동'(월령체 특징, 시상 전개, 세시 풍속) '동동'은 고려 시대의 대표적인 월령체 시가로, 이 작품은 현재 전하는 국문학 작품 중 가장 오래된 월령체 노래로, 송도(頌禱)의 성격을 지닌 서사 부분과 임에 대한 사랑을 노래하는 12개의 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월령체 시가의 특징, 시상 전개, 그리고 동동에 나오는 세시 풍속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월령체 시가의 특징에 대한 설명월령체(元日)는 한 해를 시작하는 달을 기준으로, 각 달에 맞는 다양한 시제를 다룬 형식입니다. 월령체 시는 한 달의 변화를 자연과 인간의 삶을 연결 지으면서 표현하는 형식으로, 그 달에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일을 상징적으로 담고 있습니다. 주로 농업 사회에서 각 계절과 세시풍속에 따른 사람들의 삶을 표현하는 데 집중하며, 자연의 변화와 인간의 감.. 2025. 3. 21.
고려 시대 운문 문학(특징, 갈래, 기록 문헌) 고려 시대의 운문 문학은 한국문학의 중요한 문화유산 중 하나입니다. 당시 사람들의 삶과 정신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고려 시대 운문 문학은 당대의 삶을 반영한 특징을 갖고 있으며, 다양한 갈래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이와 관련된 기록 문헌이 존재하여 후세에 중요한 문학적 자산을 남기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고려 시대 운문 문학의 주요 특징, 다양한 갈래, 그리고 이를 기록한 문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고려 시대 운문 문학의 특징고려 시대의 운문 문학은 당대 사회적, 정치적 배경을 반영하면서도, 고유의 문학적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중국 문화와의 교류, 과거 제도의 실시 등으로 향가와 같은 국문 문학이 위축, 쇠퇴하고 한문 문학이 융성하게 되었습니다. 평민들의 생활 감정을 진솔하게 표.. 2025. 3. 21.
최치원의 한시(촉규화, 추야우중, 제가야산독서당) 한시는 7세기경 한시문이 본격적으로 창작되어 한문학의 기원을 이룩하였습니다. 특히 신라 사람 최치원이 중국의 과거 제도인 빈공과에 급제하여 벼슬을 했다는 사실로 미루어 볼 때 당시의 한문학 수준이 상당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최지원의 한시인 '촉규화', '추야우중', '제가야산독서당'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촉규화 이 작품은 통일 신라 말기의 문장가 최치원이 당나라 유학 시절에 읊은 것입니다. 화자는 '거친  밭 언덕 쓸쓸한 곳'이라는 배경에 빗대어 자신의 처지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곳에 핀 꽃송이의 모습을 자세히 관찰한 후 자신의 심정을 토로합니다. 자신의 학문은 '탐스러운 꽃송이', '향기'처럼 완숙한 경지에 이르렀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를 알아주지 않는 척박.. 2025. 3. 21.
향찰로 표기된 시가(정읍사, 서동요, 헌화가) 향가는 향찰로 표기된 한국 고유의 시가 형태입니다. 신라 시대부터 고려 초기까지 창작.향유되었던 서정시입니다. 향가는 4구체, 8구체, 10구체로 나뉘며, 그중 10구체 향가는 가장 완성된 형태로 평가받습니다. 각각의 향가 작품은 그 배경이 되는 설화와 함께 전승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향찰로 표기된 노랫말의 앞이나 뒤에 그 노래와 관련된 배경 설화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배경 설화는 설화적 성격의 이야기가 대부분이나 노래가 창작될 당시의 역사적 사실이 기술되기도 합니다. 이 글에서는 향가의 대표적인 작품 정읍사, 서동요, 헌화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1) 정읍사 정읍사(井邑詞)는 현재 전하고 있는 백제의 유일한 작품입니다. 이 노래는 남편이 늦게까지 돌아오지 않아 걱정하는 아내의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 2025. 3. 20.
고대 시가(공무도하가, 구지가, 황조가) 고대 시가는 고대 부족 국가 시대부터 삼국 시대 초기까지 불린 시가입니다. 이 시가는 원시 종합 예술에서 발생한 시가로 서사와 시가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았습니다. 초기에는 집단 노동요, 의식요 위주로 창작되었고, 이후에는 개인적 서정 가요가 창작되었습니다. 주로 배경 설화와 함께 전해집니다. 기록 수단이 없어 구전되어 오다가 후대에 한문으로 번역되어 전해집니다. 이 글에서는 고대 시가 공무도하가, 구지가, 황조가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1. 공무도하가 이 시가는 중국 문헌에 전하던 고조선의 노래를 조선 시대에 라는 책에 다시 한시로 옮겨 놓은 것입니다. 악공명에 따라 '공후인'이라 일컬어지기도 합니다. 우리 문학사상 가장 이른 시기의 시편 중 하나인 이 작품에는 사랑하는 임을 여읜 시적 화자의 애절한 정.. 2025. 3. 20.
고재종 시의 농촌과 자연(세한도, 시와 회화, 첫사랑) 고재종 시인은 쇠락해 가는 농촌의 상황에 대해 관심이 많은 시인입니다. 또한 흙, 생명, 밥, 노동 등에서 생명감을 사유를 합니다. 생명 앞에서 그것에 환호하고 전율을 느끼는 사람일 뿐만 아니라 생명이 성장하는 것을 도와주고 그 생명을 보살피는 사람입니다. 그러므로 고재종 시인은 단순히 농촌과 자연을 노래한 것이 아니라, 생명의 성장과 희망을 노래합니다. 이 글에서는 고재종의 시 '세한도'와 시와 회화의 만남, 시 '첫사랑'을 분석해 보겠습니다.1. 세한도 - 농촌 현실과 극복 희망시 '세한도'는 농촌에서 농업에 종사하면서 농촌의 끈질긴 생명력에 대해 노래한 고재종 시인의 작품입니다. 이 시에는 쇠락해 가는 마을 회관을 바라보는 화자의 정서가 잘 나타나 있습니다. 추사 김정희 그림 세한도와 마찬가지로 이.. 2025. 3. 19.